윈도우는 로그인에 성공한 각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별도의 프로필을 만듭니다.
와이파이 프로필에는 네트워크 비밀번호가 저장되므로 윈도우 PC가 차후 무선 네트워크 범위에 들어오면 비밀번호를 재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여러 대의 PC를 사용하거나 PC를 새것으로 바꿀 경우, 윈도우에서 저장한 와이파이 프로필을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수동, 계정 동기화, 서드파티 프리웨어를 사용하는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수동으로 전송하기
바탕화면 빈 공간을 마우스 우클릭한 후 새로 만들기 > 폴더를 선택합니다.
폴더 이름을 지정합니다.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해 '추가 옵션 표시'를 선택하고 '경로로 복사'를 클릭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줍니다.
작업 표시줄의 검색창에 층를 입력하고 추가 명령인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프롬프트 창에 netsh wlan export profile key=clear folder=[백업 폴더 경로] 명령을 입력합니다.
이때 [백업 폴더 경로]에는 직전에 복사한 새 폴더 경로를 입력합니다.
예를 들면, 바탕화면에 폴더를 만든 경우 전체 명령은 netsh wlan export profile key=clear folder=C:\Users[username]\Desktop\Wifi_ Backup이 됩니다.
이때 [username]은 윈도우 사용자 이름입니다.
이제 엔터를 누릅니다.
윈도우는 이제 기존 와이파이 프로필 백업 폴더에 XML 파일을 생성합니다.
브라우저에서도 XML 파일을 열 수 있습니다.
열에서 각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제 USB 드라이브나 디지털 공유로 백업 폴더를 두 번째 PC에 복사합니다.
두 번째 PC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엽니다.
이제 netsh wlan add profile filename=[XML 파일 경로] user=current 명령을 입력하고 [XML 파일 경로]를 새 PC로 전송하려는 XML 파일 경로로 바꿉니다.
마우스 우클릭 후 경로 복사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전체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netsh wlan add profile filename=C:\Users[username]\Desktop\WLAN_Backup\fritzbox.xml user=current
수동 공유의 단점은 입력을 여러 번 해야 하고 와이파이 프로필을 한번에 하나씩만 전송한다는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비밀번호를 동기화하는 두 번째 방법이 더 편리한 이유입니다.
시작 메뉴에서 윈도우 설정 앱을 찾아 계정 > 윈도우 백업으로 이동합니다.
'내 기본 설정 저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항목을 더 보는 아래쪽 화살표를 누릅니다.
'계정 및 암호', '기타 윈도우 설정'에 체크한 후 두 번째 PC에서도 같은 과정을 반복합니다.
그 후 윈도우가 두 PC가 같은 와이파이 프로필을 사용해도 될지 확인합니다.
이 방법의 단점은 비밀번호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를 통해 전송된다는 것입니다.
보안을 우려한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넷셋맨으로 와이파이 비밀번호 전송하기
프리웨어를 사용해 비밀번호를 동기화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넷셋맨(NetSetMan)은 윈도우에 직접 설치하거나 USB 드라이브에서 실행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다른 매체로 내보내는 무료 소프트웨어입니다.
넷셋맨을 설치하고 왼쪽 와이파이 기호를 클릭합니다.
프로필 탭으로 전환해 저장된 와이파이 프로필 목록을 가져옵니다.
그 다음 와이파이 프로필을 선택하고 내보내기를 클릭합니다.
비밀번호를 암호화할지, 일반 텍스트로 저장할지를 결정하고 폴더를 선택합니다.
넷셋맨은 데이터를 XML 파일로 저장합니다.
다른 와이파이 프로필에도 같은 과정을 반복하고 폴더를 USB 드라이브에 복사합니다.
XML 파일을 두 번째 PC에 다운로드하고 넷셋맨을 설치합니다.
와이파이 프로필 목록을 불러온 후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해 USB에서 윈도우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완료입니다.
이제 새 PC에도 모든 와이파이 프로필 비밀번호가 그대로 저장됩니다.
전원을 계속 꼽아놓은 노트북, 계속 꼽아놔도 무리가 없을까.
노트북과 맥북의 강점은 바로 이동성이죠. 여행이나 휴가 중에도, 기차 안에서도 얼마든지 편안한 분위기에서 일을 하고 웹 서핑이나 동영상 시청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끊임 없이 이동만
godhyuk.tistory.com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닌텐도 스위치, 에어팟과 연결해서 사용해보자. (0) | 2023.08.13 |
---|---|
맥OS 소노마의 새로운 기능, 바탕화면 위젯 설정법 (0) | 2023.08.13 |
윈도우 11, 안드로이드 앱 설치해서 사용해보자. (0) | 2023.08.13 |
업데이트 될 아이폰 iOS17 전화 앱, 이게 최선입니까 (0) | 2023.08.12 |
내 에어팟이 고장이 난건가? 간단한 해결 꿀팁 여러가지 (0)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