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윤도현 암, 위 말트림프종 어떤 암이며, 예방법은 있는 걸까.

갓혁:) 2023. 8. 15. 17:00
728x90

지난 10일 윤도현은 자신의 SNS에 '지난 2021년 건강검진에서 암 진단을 받았고 3년간 투병 끝에 이틀 전 완치 판정을 받았다'라고 밝혔습니다.

진단 당시 많이 놀랐다는 윤도현은 치료 결과가 좋은 편에 속하는 암이라는 말에 정신을 차리고 약물 및 방사선 치료에 성실하게 임했다고 소회를 전했습니다.
윤도현은 그간 암 투병 사실을 부모님이나 팬, 동료들에게 알리지 않고 항암 치료와 연계 활동 일정을 병행했습니다.

 

 

윤도현 인스타그램 캡처

 


윤도현이 진단받은 암종은 림프종의 일종인 희귀성 암인 '위 말트림프종'입니다.
위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위장의 악성 종양이지만, 전체 위 악성 종양의 약 5% 정도만 차지할 정도로 발병 인원이 적은 편입니다.

말트(MALT)는 점막 연관 림프조직(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의 줄임말입니다.
말트의 B세포에서 유래한 악성도 낮은 림프종이 위장에 발생한 상태로, 위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과 자가면역 상태가 위 점막에 반응성 말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점막 부위에서 발생하기에 위 외에도 눈과 폐, 갑상선, 소장 등에서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국내 위말트림프종 환자의 대부분은 초기에 진단되는데, 이 경우 예후가 매우 좋습니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김준성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전체 위말트림프종 환자의 10년 전체 생존율은 99.1%였으며, 1기 환자(99.3%)가 3,4기 환자(94.6%)에 비해 더 우수하게 나타났습니다.
헬리코박터균 양성 환자의 10년 전체생존율은 99.5%로 음성 환자(97.9%)보다 더 좋은 예후를 보였습니다.
아울러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만 받은 위말트림프종 환자의 10년 전체생존율은 99.5%로 확인돼 제균 치료 후 방사선 또는 항암 화학치료를 받은 환자(96.6%)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728x90

소화불량, 구토, 식욕부진 등의 증상


위 말트림프종은 위선암과 마찬가지로 임상적으로 특이 증상이 없습니다.
상복부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속이 메스껍거나 구역질이 나오고 구토, 소화불량,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악성일 땐 출혈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위내시경에서 위 점막의 염증, 미란, 양성 궤양, 결절, 다발성 용종, 위 추벽의 비후 등의 소견을 보일 수 있으나 내시경만으로는 감별하기 어려워 확진하려면 조직생검이 필요합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박멸로 암세포 제거


과거에는 위 말트림프종을 포함해 모든 원발송 림프종의 첫 단계 치료법으로 외과적 수술이 권고했습니다.
그러나 위에 악성도가 낮은 B세포 림프종이 발생한 경우 진행 속도가 매우 느리고, 수년간 국소적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전신 전이가 매우 드물어 수술적 치료보다는 항생제 치료와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등을 자주 활용합니다.
특히 종양의 위험도가 낮을 땐 항생제를 투약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나 클라미디어균을 박멸하면 암세포가 완전히 없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하며 이 방법에 실패했을 땐 방사선 치료 등의 항암 치료로 전환합니다.

 

철저한 개인 위생 관리 필수


위 말트림프종은 헬리코박터균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위 말트림프종 예방을 위해서는 헬리코박터균 감염 예방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은 철저한 개인 위생입니다.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경로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헬리코박터균에 오염된 음식을 먹거나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손에서 입을 통해 감염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며, 사람간 입을 통한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렸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문화에는 찌개를 같이 떠먹거나 술잔을 돌리는 것 등이 있는데, 이러한 습관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합니다. 덜어서 먹읍시다 좀.

 

치명적 질환 폐암, 예방하는 과일은 뭐가 있을까.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0년 한국인이 가장 많이 진단 받은 암은 폐암입니다. 폐암 발생의 약 70%가 흡연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godhyuk.tistory.com

 

300x250